신경과학 관련 자료(8)
-
[논문 리뷰] Language & Memory (1) | Missing links: The functional unification of language and memory (L∪M)
paper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49763421005601논문 3줄 요약1. 과거에는 심리학에 기반해 언어-기억 기능을 구분했지만 이제는 연결성 등을 통해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며 그것이 LuM이다. 2. LuM은 크게 RT-CM-TA 역할로 구분되어 있으며 "언어 출력", "언어와 의미 간 변환", "의미 처리"을 주로 담당한다.3. RT-CM-TA 각각을 주로 이루는 영역은 SAL-FPN-DMN이며 이들이 복합적으로 발현되는 구역도 존재한다. 스토리텔링 방식 설명 기존에는 언어와 기억에 대해 연구를 할때 심리학을 기반으로 역할을 분해하고 각각에 대한 부위를 알아내는 식으로 연구를 했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와 기억은 구..
2024.05.09 -
[논문 리뷰] Predictive Coding (1) | A tutorial on the free-energy framework for modelling perception and learning, Rafal Bogacz
paper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2249615000759 이 논문은 Predictive Coding의 주요 이론인 "free-energy framework"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간단한 상황부터 차근차근 설명해가는 튜토리얼 논문입니다. 즉, 본래 논문인 "The free-energy principle: a unified brain theory?, Karl Friston"보다 쉽게 해당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다보니 신경과학적 또는 행동학적 근거 등 디테일한 부분은 논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니 이에 대한 것은 다른 자료를 찾아봐야 합니다. 사람은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측정"하고 그..
2024.05.01 -
The Hippocampus Book [1] 3장(1) Hippocampal Neuroanatomy
책의 구성은 1장 ~ 16장으로 되어 있다. 1장은 책의 구성에 대한 내용, 2장은 과거의 연구 과정에 대한 내용이다. 이 책을 읽는 목적은 Hippocampus가 어떻게 episodic memory를 만들고 그 정보가 어떻게 neo-cortex에 LTM으로 남게 되는지 등의 과정과 그 memory들이 어떤 connection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에 있다. 즉, 최근 정설로 믿어지는 것을 얻는 것이 우선적인 목적이므로 3장부터 필요한 부분을 위주로 보고 마지막에 2장을 보는 순서대로 공부할 예정이다. 이 글에서는 3장 Hippocampal Neuroanatomy의 초반 부분에 대해 다룬다. Chapter 3. Hippocampal Neuroanatomy3.1 Overview >> 개괄3.2 H..
2024.04.29 -
[가설] 자아와 의식의 진화적 기원에 관하여
이 글은 “ㅈㅇㅈ”이라는 친구가 보내준 아래 영상을 보고 그 내용과 개인의 가설을 융합하여 적은 글이다. 또한 내가 적은 글 중 [느낌의 발견] 책에 관한 글들을 참고하는 것도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최대한 간단하게 진화적 과정 가설을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이 글에서는 생명체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며 자아를 self, 의식을 consciousness로 영어로 사용하겠다. self에는 core-self, autobiological-self가 있으며 consciousness에는 세상에 대한 것을 간략히 world로 표시한다면 world-consciousness, self-world consciousness, self-self consciousness가 있는 것이 안토니오 다마지오도 언급한 주요한 가설이다..
2024.03.19 -
[자료] 1. Brain Connectivity Toolbox
뇌과학에 대해 공부를 하다 보니 실제 뇌 부위의 연결 관계를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야 정보가 어디서 어디로 흘러가는지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특정 사고를 할 때 (예를 들어 Working Memory가 작동 할 때) 어떤 부위가 correlated 되어 활성화 되는지 아는 것은 해당 사고가 일어날 때 어떤 부위가 관련 되어 있는지 아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 생각했다. 이를 알기 위해서 나는 Brain Connectivity에 대한 자료를 찾았다. 먼저 Brain Connectivity Toolbox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한 결과 아래와 같은 사이트를 찾을 수 있었다. - 사이트 : https://sites.google.com/site/bctnet/getting-starte..
2024.03.05 -
[계산신경과학] 0. 공부하는 이유 및 목차 분석
교재 정보 : The Cambridge Handbook of Computational Cognitive Sciences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cambridge-handbook-of-computational-cognitive-sciences/2713AC0C8AC0B0F2B9E97DB010813883 The Cambridge Handbook of Computational Cognitive SciencesCambridge Core - Cognition - The Cambridge Handbook of Computational Cognitive Scienceswww.cambridge.org 평소 나는 Semantic Memory의 Computational Model에..
2024.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