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학 관련 자료(8)
-
[느낌의 발견] 1. [1부] 서론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것,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고 있는 자신을 인식하는 것, 너무 놀라운 일이지 않은가? 이 책은 이러한 "의식"에 대해서 다룬다. 그런데 "의식"이란 그래서 무엇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 의식은 자아와 주변에 대한 유기체의 인식이다. 그리고 이를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즉, 외부로부터 얻은 information을 알거나 feeling을 느끼거나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것이 의식의 정체이다. 아래는 의식에 대한 신경학적 증거들이다. 1. 의식은 특정 뇌 영역에 의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2. 각성상태 (wakefulness)와 저수준 주의 (low level attention) 상태가 있다. 3. 의식과 정서는 분리가 불가능하다. 4. 의식은 단일체가 아니며 핵심의식과 확장의..
2024.02.29 -
[느낌의 발견] 0. 서론 | 이 책을 읽는 목적
나는 2년 전부터 고등학교 동창 3명이서 "모지리들" 이라는 독서 모임을 하고 있다. 각자 책을 한 권씩 추천하고 그것을 읽어와서 이야기를 나누는 식으로 운영된다. 그리고 나는 다음 모임을 위한 책을 결정하기 위해 교보문고에 갔었다. 과학 코너에 "느낌의 발견"이라는 책을 발견할 수 있었고 평소 느낌, 감정에 관심이 많던 나는 이 책을 살펴보기 시작했다. 목차를 보니 '언어와 의식' 이라는 부분이 있어 잠시 읽어봤다. 그랬더니 상당히 재미있는 방법으로 의식이 언어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언어는 의식의 의식의 비언어적 객체에 대한 이름일 뿐이라는 것에 대해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괜찮은 책이라는 판단이 들어 이 책을 모임의 다음 책으로 결정하고 읽기 시작하게 되었다.
2024.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