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
요리 (5/19/일) | 가쓰오부시 육수로 만든 우동
참고자료 : 육수내는 방법은 "최강록의 레시피 노트"를 참고했으며 전반적인 레시피는 아래 링크를 참고했습니다. https://www.10000recipe.com/recipe/6975297 우동만들기 / 가쓰오부시로 기본 우동국물 만드는 법우동만들기 / 가쓰오부시로 기본 우동국물 만드는 법 집에서 우동 만들어 먹기 쉽지는 않죠? 여러가지 우동육수 만드는 법이 있겠지만, 일식 우동 느낌 가장 가깝게 우동 국물 간단하게 만드는www.10000recipe.com먼저 재료를 분석하였습니다. 저는 1인분을 만들면 되기 때문에 아래 재료로 준비했습니다. 우동면 : 1인분어묵 : 조금김 : 조금 대파 : 조금 진간장 : 50ml맛술 : 50ml설탕 : 15g다시마 : 10g가쓰오부시 : 20g 그리고 아래 방식으로 ..
2024.05.19 -
라플라스의 악마와 우리가 해야 할 일
역학 문제에서 주어지는 것은 보통 초기 물체의 질량과 위치, 속도이다. 그리고 그것들의 상호작용이 주어진다. 그리고 미래의 몇초 후의 미래를 예상하는 것이 역학문제이다. 이는 곧 초기 조건을 알면 미래를 알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것이 라플라스의 악마이다. 만약 한 시점에 세상의 모든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아는 악마가 존재 가능하다면 세상의 미래와 과거는 이미 정해져있다는, 우리는 그저 운명에 따라 살아갈 존재일 뿐이라는 이야기다. 하지만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이는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부등식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운명과 자유의지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하게 해준다. 누군가는 이 이야기를 자유의지의 증빙으로 보지..
2024.05.14 -
[없는 서비스] 유튜브 필터링 (어린 아이들을 곁들인)
영어 학원에서 자녀를 가진 어떤 부모 분이 이런 고민을 털어놓았다. "유튜브나 숏폼을 지금 세대들이 접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것 같은데 다만 질이 너무 떨어지고 시간만 보내게 하거나 잘못된 정보 등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것들이 많아서 아이들이 걱정이 된다. 이게 필터링 되게 유튜브에서 나왔으면 좋겠다" 라고 말이다. 우리 테이블은 그것에 대해 논의했고 유튜브에서 바로 그것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외부에서 그것을 만들수는 있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마치 애드블록처럼 말이다. 그 이후에는 이런 니즈를 가진 학부모들에게 마케팅을 하고 비슷한 니즈를 가진 성인들에게도 마케팅을 하고 월 구독료 또는 평생 구독료를 받으면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쩌면 최후에는 유튜브에 M&A를 하면 그것이 베스트일 것 같다. 특이하게도 ..
2024.05.09 -
[논문 리뷰] Language & Memory (1) | Missing links: The functional unification of language and memory (L∪M)
paper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49763421005601논문 3줄 요약1. 과거에는 심리학에 기반해 언어-기억 기능을 구분했지만 이제는 연결성 등을 통해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며 그것이 LuM이다. 2. LuM은 크게 RT-CM-TA 역할로 구분되어 있으며 "언어 출력", "언어와 의미 간 변환", "의미 처리"을 주로 담당한다.3. RT-CM-TA 각각을 주로 이루는 영역은 SAL-FPN-DMN이며 이들이 복합적으로 발현되는 구역도 존재한다. 스토리텔링 방식 설명 기존에는 언어와 기억에 대해 연구를 할때 심리학을 기반으로 역할을 분해하고 각각에 대한 부위를 알아내는 식으로 연구를 했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와 기억은 구..
2024.05.09 -
동감의 세계
사람은 외롭다.같이 있어도 외롭기도 하며 혼자 있을때도 외롭다. 이러한 외로움은 단순한 관계가 해결 해주지 않는다. 동감하는 관계야 말로 내 마음 속 자아의 핵을 건드려 마음을 느슨하게 늘어뜨리게 만들어준다. 그러면 잠시 그 관계에 내 마음을 기댈 수 있게 되고 어느 순간 외로움 따위 사라져 있다. 하지만 연인이 아닌 이상 현대 사회에서 서로 이러한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는 일은 아무래도 어렵다.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는 말이 있듯이 너무 가까이서만 보게 되면 또 그 나름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거리를 유지하게 되고 어느덧 동감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거리를 벗어나게 된다.그럼 진짜 외로움을 벗어나게 해주는 동감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야 다음 논의를 이어갈 수 있..
2024.05.09 -
[논문 리뷰] Predictive Coding (1) | A tutorial on the free-energy framework for modelling perception and learning, Rafal Bogacz
paper url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2249615000759 이 논문은 Predictive Coding의 주요 이론인 "free-energy framework"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간단한 상황부터 차근차근 설명해가는 튜토리얼 논문입니다. 즉, 본래 논문인 "The free-energy principle: a unified brain theory?, Karl Friston"보다 쉽게 해당 내용을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다보니 신경과학적 또는 행동학적 근거 등 디테일한 부분은 논문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니 이에 대한 것은 다른 자료를 찾아봐야 합니다. 사람은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측정"하고 그..
2024.05.01